[태그:] 축의금

  •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고 보면 쉬운 예절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고 보면 쉬운 예절

    KakaoTalk 20210223 230041301 01 scaled word1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고 보면 쉬운 예절이에요.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 신부에게 청첩장을 받게 되면 기쁜 마음으로 축하를 해 주면서도 한편으로 걱정되는게 바로 축의금이 아닐까 생각해요.

    최근 코시국에는 아무래도 하객의 인원이 제한되어 있다보니 축하하는 마음을 담아 계좌에 송금해 주는 경우도 흔해졌지만 아무래도 청첩장을 받았다면 방문하는게 예의 랍니다.

    그래서 예식장에 방문을 할 때 봉투에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알고 계신다면 예의에 어긋나지 않게 전달할 수 있답니다.

    오늘은 바로 이 축의금 봉투 쓰는법 기준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할께요.

     

    1. 봉투 앞면 작성하는법

    결혼식 축의금 봉투 앞면의 경우 보통 문구가 적혀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따로 생각을 안해도 되는데, 가끔 아무것도 없는 빈봉투가 있을 때도 있어요.

    그래서 이때에는 당황하지 말고 5가지 문구만 기억하시면 되요

    – 축결혼 : 신랑에게 주로 사용하며 혼인을 맺은것을 축하하는 의미에요

    – 축성혼 : 성스러운 혼인을 기원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 축화혼 : 신부에게 주로 사용하며 두사람의 혼인이 빛나는 것을 축하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 축성전 : 성대하게 결혼식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는 의미가 있어요

    – 하의 : 예를 갖추어 축하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이렇게 한자 또는 한글로 작성하시고, 결혼을 축하합니다. 또는 앞으로 행복한 미래가 되길 바랍니다 라고 편지형식으로 작성하셔도 좋답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고보면 간단하지만 꼭 지켜야할 예의랍니다

    2. 축의금 봉투뒷면 작성하기

    축의금 봉투 뒷면에는 소속과 직함, 이름을 세로로 작성하는게 기본이에요.

    간단하게 이름만 적어도 무방하지만 나와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직함 또는 소속을 적어서 표시를 해주는 거랍니다.

    또 혼자 축의금을 내는것이 아닐 때에는 홍길동 외 3명과 같이 인원을 적어주시면 되요

     

    생각보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어렵지 않죠?

    간단한 예의만 지켜준다면 큰 어려움없이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만 기억해서 방문하신다면 좋겠네요.

    그럼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랄께요!

     

    결혼식-축의금-금액-기준-알고계신가요/

  •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 알고계신가요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 알고계신가요

    결혼식 축의금 금액 걱정하지 말고 편하게 정해서 전해주세여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 알고 계신가요?

    20대가 넘어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나면 결혼적령기에 다가갈수록 각종 경조사에 참석해야하는 일이 생기게 되는거 같아요.

    어릴때에는 부모님이 알아서 하셔서 따로 할게 없었는데 말이죠.

    특히 돌잔치, 결혼식과 같은 즐거운 일이 있는 경사에 초대를 받아 방문을 하게 될 때에는 아무래도 축의금을 얼마를 내야하는지에 대해 고민이 되더라구요.

    아무래도 사회초년생일 때에는 지갑이 얇기 때문에 10만원, 20만원 같은 큰 금액을 멋지게 전해주고는 싶지만 아무래도 한달을 살아야 하는 입장에서는 부담이 되기 마련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바로 이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해요.

    따로 정해진 기준이 없기 때문에 더 난감했을 축의금, 얼마를 내야 할지 한번 알아보도록 해요!

    우선 결혼식 축의금 금액 정할 때에는 짝수와 홀수 중에서 3만원, 5만원, 7만원과 같은 홀수 금액을 전달하는 것이 암묵적인 룰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 이유는 홀수의 경우 전통적으로 밝은 기운을 상징하고 있는데, 그래서 이런부분이 즐거운 경사에 어울리기 때문이에요.

    반면에 짝수의 경우에는 어두운 기운을 상징해서 불길하다는 의미가 있기에 축의금 금액 기준을 잡을 때 배제하는데, 10만원의 경우에는 완성된 숫자이기에 예외로 둔답니다.

    또 1만원은 축하를 하기 위한 금액으로는 부족하고, 9만원은 완성되기 전 숫자이기에 불길하다하여 피하는 액수라고 할 수 있어요.

    축의금 3만원 : 연락을 자주 안하는 사이, 거의 볼일없는 사이에 하면 좋아요

    축의금 5만원 : 직장 동료나 학교 선후배 사이에 전해주기 좋아요.

    축의금 7만원 : 일행이 있을 때 밥값을 더 낸다고 생각하고 전해주면 좋아요.

    축의금 10만원 : 친한 사이에 가장 적당한 금액이라고 생각해요.

     

    이 금액 이상으로 축의금을 할 때에는 호텔 또는 고급 연회장과 같이 밥값이 비싼곳이거나 내가 직접 방문하지 못해서 계좌로 전해줄 때, 정말 소중한 사람일 때 평소보다 조금 더 넣어주고 있어요

    반면에 평생 연락 없다가 카톡이나 문자로 결혼소식을 알린다면, 내 경조사에 방문했던 금액 만큼만 주거나 그런것도 없다면 그냥 무시하는게 좋다고 생각되네요.

     

    빅사이즈웨딩드레스-종류-다양하게-골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