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결혼식 축의금

  • 결혼식 축의금 금액 얼마나 내는게 좋을까?

    결혼식 축의금 금액 얼마나 내는게 좋을까?

    결혼식 축의금 금액 얼마나 내야할지 고민될때 한번 생각해 봐요

    결혼식 축의금 금액 얼마나 내는게 좋을까?

    최근 거리두기 단계가 계속 유지되면서 기다리다 지쳐 그냥 결혼식을 진행하는 예비부부들이 많아 지고 있어요.

    사람들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직접 방문하기가 꺼려지는 것도 사실이죠.

    그래도 인생의 새로운 시작이라는 의미를 가진 기쁜날이기에 결혼식 축의금 금액을 얼마나 줘야 할지, 또는직접 방문해서 또는 계좌이체를 해야 할 지 두갈레의 길에 서게 된답니다.

    그래서 오늘은 예식장에 자주 방문하는사람으로써 과연 얼마나 줘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조금은 해소시킬 수 있는 몇가지 기준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볼까 해요.

    궁금하셨다면 함께 확인해 보도록 해요

    screenshot 2024 06 21 오전 10 15 51 word3

    1. 인간관계에 의한 결혼식 축의금 금액 결정

    인간관계의 경우 기본적으로 나와 신랑 또는 신부에 대한 친밀도에 따라 그 금액이 달라진다고 할 수 있어요

    – 내 절친 또는 정말 가까운 지인, 또는 그 사람의 가족의 경우 – 20만원 또는 그 이상

    – 자주 만나는 친구 또는 지인, 친척들의 경우 – 15만원

    – 회사 동료 또는 관계자, 친분이 있는 경우 – 10만원

    – 먼 친척이나 얼굴만 몇번 본 사이의 경우 예의상 – 3 ~ 5만원

    – 직접 청첩장을 주지 않았거나 몇년간 연락이 없었던 경우 – 빵원

    2. 직업 특수성에 대한 결혼식 축의금 금액 결정

    공직에 몸을 담고 있는 분들이라면 김영란법 이라고 부르는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금지에 관한 법률에 따라 그 액수의 제한을 받기 때문에 무턱대고 많이 주는게 좋지 않아요

    3. 결혼식장 장소에 의한 결혼식 축의금 금액 결정

    보통은 웨딩홀에서 결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호텔에서 결혼하는 경우에는 보통 그 식대에 맞춰서 적용을 하게 되요.

    호텔 예식의 경우 그 지역과 장소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0만원대를 예상하기 때문에 10 ~ 15만원 정도를 축의금 봉투에 담아서 전달준답니다.

  • 호텔 결혼식 축의금 평소보다 더 내는이유

    호텔 결혼식 축의금 평소보다 더 내는이유

    호텔 결혼식 축의금 얼마나 내야할지 고민된다면 식비에 맞춰보세요

    호텔 결혼식 축의금 평소보다 더 내는이유 알아봐요

    결혼식 축의금 금액은 언제나 얼마나 내야 할지 고민되는 일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되요.

    가까운 친구 또는 지인, 가족일 경우에는 기쁜마음으로 큰 금액도 전해줄 수 있지만 별로 친하지도 않거나 단순한 업무상 만나는 사이일 경우에는 애매하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이런 인간관계에 대한 경우를 제외하고 또 한번 축의금 금액에 대해 고민하게 만드는 일이 있어요.

    바로 예식장의 위치가 호텔 결혼식일 경우 랍니다.

    331 word3

    보통 5만원 또는 10만원으로 결정되는 축의금 금액이 그 장소가 호텔일 경우에는 10만원 또는 그 이상으로 올려서 주기 때문이에요.

    그 이유는 바로 호텔에서 결혼할 경우 식비가 다른 웨딩홀에 비해 비싸기 때문이에요.

    결혼식장 식비가 보통 3~5만원 사이로 정해져 있다면 호텔의 경우에는 8 ~10만원을 넘어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축의금 5만원을 주고 식사를 하고 오면 신랑, 신부입장에서는 손해이기 때문이죠

    또 예를 들어 5성급 호텔의 경우에는 식대가 인당 15만원을 넘어가는 경우도 있어서 방문하는 입장에서는 굉장한 부담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식비보다는 조금 더 내야 한다는 암묵적인 룰이 생기게 되었고, 혼자 갔을 때는 보통 10만원 또는 그 이상의 축의금 금액을 전해주게 되었답니다.

     

    581 word3

    보통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리게 되는 경우 그 친구의 집안 또는 부모님이 경제적으로 부유한 편에 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결혼 당사자보다는 사회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남들 시선을 의식해서 이런 비싸고 고급진 곳에서 진행하게 되는 부분이죠

    이런 이유로 축의금은 필요없으니 와서 축하만 해줘도 된다는 분들도 가끔 있더라구요.

    현실적으로 호텔 예식의 경우에는 대부분 지정석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참석의사를 꼭 결혼 당사자에게 전해주어야 하고, 왠만하면 식비에 맞게 전달해 주는게 서로에게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호텔 결혼식 축의금 고민될 때 식비를 확인해 보세요

    그럼 즐거운 하루 되세요..!!

    코로나-결혼식-인원-단계별로-몇명까지-가능/

  •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고 보면 쉬운 예절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고 보면 쉬운 예절

    KakaoTalk 20210223 230041301 01 scaled word3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고 보면 쉬운 예절이에요.

    결혼을 앞둔 예비 신랑, 신부에게 청첩장을 받게 되면 기쁜 마음으로 축하를 해 주면서도 한편으로 걱정되는게 바로 축의금이 아닐까 생각해요.

    최근 코시국에는 아무래도 하객의 인원이 제한되어 있다보니 축하하는 마음을 담아 계좌에 송금해 주는 경우도 흔해졌지만 아무래도 청첩장을 받았다면 방문하는게 예의 랍니다.

    그래서 예식장에 방문을 할 때 봉투에 어떻게 작성해야하는지 알고 계신다면 예의에 어긋나지 않게 전달할 수 있답니다.

    오늘은 바로 이 축의금 봉투 쓰는법 기준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할께요.

     

    1. 봉투 앞면 작성하는법

    결혼식 축의금 봉투 앞면의 경우 보통 문구가 적혀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따로 생각을 안해도 되는데, 가끔 아무것도 없는 빈봉투가 있을 때도 있어요.

    그래서 이때에는 당황하지 말고 5가지 문구만 기억하시면 되요

    – 축결혼 : 신랑에게 주로 사용하며 혼인을 맺은것을 축하하는 의미에요

    – 축성혼 : 성스러운 혼인을 기원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 축화혼 : 신부에게 주로 사용하며 두사람의 혼인이 빛나는 것을 축하한다는 의미가 있어요

    – 축성전 : 성대하게 결혼식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는 의미가 있어요

    – 하의 : 예를 갖추어 축하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요.

    이렇게 한자 또는 한글로 작성하시고, 결혼을 축하합니다. 또는 앞으로 행복한 미래가 되길 바랍니다 라고 편지형식으로 작성하셔도 좋답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알고보면 간단하지만 꼭 지켜야할 예의랍니다

    2. 축의금 봉투뒷면 작성하기

    축의금 봉투 뒷면에는 소속과 직함, 이름을 세로로 작성하는게 기본이에요.

    간단하게 이름만 적어도 무방하지만 나와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직함 또는 소속을 적어서 표시를 해주는 거랍니다.

    또 혼자 축의금을 내는것이 아닐 때에는 홍길동 외 3명과 같이 인원을 적어주시면 되요

     

    생각보다 축의금 봉투 쓰는법 어렵지 않죠?

    간단한 예의만 지켜준다면 큰 어려움없이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만 기억해서 방문하신다면 좋겠네요.

    그럼 즐거운 하루 되시길 바랄께요!

     

    결혼식-축의금-금액-기준-알고계신가요/

  •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 알고계신가요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 알고계신가요

    결혼식 축의금 금액 걱정하지 말고 편하게 정해서 전해주세여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 알고 계신가요?

    20대가 넘어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나면 결혼적령기에 다가갈수록 각종 경조사에 참석해야하는 일이 생기게 되는거 같아요.

    어릴때에는 부모님이 알아서 하셔서 따로 할게 없었는데 말이죠.

    특히 돌잔치, 결혼식과 같은 즐거운 일이 있는 경사에 초대를 받아 방문을 하게 될 때에는 아무래도 축의금을 얼마를 내야하는지에 대해 고민이 되더라구요.

    아무래도 사회초년생일 때에는 지갑이 얇기 때문에 10만원, 20만원 같은 큰 금액을 멋지게 전해주고는 싶지만 아무래도 한달을 살아야 하는 입장에서는 부담이 되기 마련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바로 이 결혼식 축의금 금액 기준에 대해 이야기를 해 보려고 해요.

    따로 정해진 기준이 없기 때문에 더 난감했을 축의금, 얼마를 내야 할지 한번 알아보도록 해요!

    우선 결혼식 축의금 금액 정할 때에는 짝수와 홀수 중에서 3만원, 5만원, 7만원과 같은 홀수 금액을 전달하는 것이 암묵적인 룰이라고 할 수 있어요.

    그 이유는 홀수의 경우 전통적으로 밝은 기운을 상징하고 있는데, 그래서 이런부분이 즐거운 경사에 어울리기 때문이에요.

    반면에 짝수의 경우에는 어두운 기운을 상징해서 불길하다는 의미가 있기에 축의금 금액 기준을 잡을 때 배제하는데, 10만원의 경우에는 완성된 숫자이기에 예외로 둔답니다.

    또 1만원은 축하를 하기 위한 금액으로는 부족하고, 9만원은 완성되기 전 숫자이기에 불길하다하여 피하는 액수라고 할 수 있어요.

    축의금 3만원 : 연락을 자주 안하는 사이, 거의 볼일없는 사이에 하면 좋아요

    축의금 5만원 : 직장 동료나 학교 선후배 사이에 전해주기 좋아요.

    축의금 7만원 : 일행이 있을 때 밥값을 더 낸다고 생각하고 전해주면 좋아요.

    축의금 10만원 : 친한 사이에 가장 적당한 금액이라고 생각해요.

     

    이 금액 이상으로 축의금을 할 때에는 호텔 또는 고급 연회장과 같이 밥값이 비싼곳이거나 내가 직접 방문하지 못해서 계좌로 전해줄 때, 정말 소중한 사람일 때 평소보다 조금 더 넣어주고 있어요

    반면에 평생 연락 없다가 카톡이나 문자로 결혼소식을 알린다면, 내 경조사에 방문했던 금액 만큼만 주거나 그런것도 없다면 그냥 무시하는게 좋다고 생각되네요.

     

    빅사이즈웨딩드레스-종류-다양하게-골라보세요/